IT 용어, 인터넷 활용 등등
HTTP/3, QUIC, HOL, RTT
jake_kim
2022. 3. 4. 17:50
반응형
# 참조 : https://http3-explained.haxx.se/ko/why-quic/why-tcphol
QUIC 란 )
- 약어 아닌 이름이다. HTTP 만을 위한 프로토콜은 아니다 . UDP 상에서 동작.
- HTTP/2 기능인 하나의 TCP 로 여러 스트림 전송하는 멀티플렉싱. 연결병합 + desharding.
첫요청이 끝나야 다음 요청가능한 HTTP HOL (Head of line ) 블로킹 해결.
- 유튜브가 QUIC 를 사용하나 보편화 되지는 않았음.
TCP HOL(ko/head of line) 블로킹 )
- HTTP/2 에서 TCP 한개로 수십 수백개 병렬 전송
- 하지만 병렬 전송중 하나가 빠지만 빠진 패킷 재전송하고 목적지 찾는 동안 전체 TCP 중단 .
즉 패킷손실률 증가시 HTTP/2 성능 저하되는데, 2% 손실시 HTTP/1 이 오히려 나음.
QUIC 방식 )
- 수십 수백개 병렬 전송을 각각의 독립 스트림방식으로 처리하는데,
독립 스트림은 하나가 손실이 일어나면 전체가 멈추는 TCP HOL 블로킹을 해소함.
- TLS 1.3 방식 필요하므로 안전 .
- 0 RTT, 1 RTT ( Round Trip Time. 패킷확인시 거리가 멀면 지연시간이 늘어난다 )
- 하나의 스트림 내에서는 순서가 있지만, 각 스트림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
- 연결이 되면 패킷에 ConnectionID 가 생기는데, 느린 모바일 인터넷 쓰다가 빠른 와이파이로 변경이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