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Code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563건

  1. 콜스타
  2. Linux) SWAP 초기화
  3. whois.com 에서 whois.co.kr 로 이전하기
  4. 소개
  5. 간단한 챗봇 만들기 테스트
  6. Planet of Solar System
  7. [I] FireBeat 설치
  8. Logstach 설치
  9. KIBANA.샘플데이터 로드
  10. 표준 ANSI SQL MODE (Strict Mode) 사용 On/OFF

콜스타

CID 연결, KT, SK, LG
반응형

2019/ 07/ 19 현재

 

용도 회선 모델 특이사항
KT 전화용 1회선용 콜스타 CTI-136 - 홈페이지 구매해야 함.
2...4 회선용    
인터넷 전화용 1회선용 콜스타 IP CTI-136

- 법인 용(인듯 함)

- 회사에직접전화해서 구매해야 함.

(사업자번호, 11만원 ?)

- KT, LG, SK 지원.

- 전화걸기 기능은 제공 안함.

2...4 회선용  

 

반응형

Linux) SWAP 초기화

Server 관리
반응형

불필요한 스왑이 발생해서, 초기화하고 싶을 경우 사용

 

root> swapoff -a && swapon -a

 

* 주의) swapoff 시 swap 2 memory, swap 2 disk 가 발생할 수 있어 시간이 좀 걸릴 수 있다.

반응형

'Server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터널링(Tunneling).Remote 방식  (0) 2020.01.18

whois.com 에서 whois.co.kr 로 이전하기

IT 용어, 인터넷 활용 등등
반응형

[ whois.co.kr ]

1) whois.co.kr 에 계정이 있어야 함.

 

2) 도메인 > 변경/이전 > 후이즈로 도메인 기관 이전

 

3) 등록기관 이전 신청에서 도메인 적고 "기관이전 신청" 등록 버튼 클릭 및 결제까지 진행해야 함.

 

4) 등록기관 이전 관리에 신청한 목록이 뜸.

주의사항) whois.com 에 접속해서, 이동할 도메인 클릭후, Theft Protection 을 Disable 해야 함.

 

5) Auth. Code 를 입력해야 함.

Auth.Code 확인하는 방법) 

whois.com 에 접속해서, Domain Secret 를 클릭하면 Code 가 나타나는데, 이 Code 를 복사해서 whois.co.kr 에 입력한다.

 

이후, 30 분쯤후에, whois.com 에 등록된 도메인 등록 메일로 아래와 같은 내용이 온다.

중요한 점은, 아래 붉은 글씨다. 일주일쯤 기다려야 이전이 된다. 아무런 액션을 취할 필요 없다.

------------------------------------------------------------------------------------------------------------------------------

Dear Customer,

Whois.com received notification on Monday, Jul 1, 2019 that you have requested a transfer to Whois Networks Co., Ltd. for mydomain.com. If you want to proceed with this transfer, you do not need to respond to this message. If you wish to cancel the transfer, please click on the below link before Saturday, Jul 6, 2019:

Cancel Transfer Link:

Click Here to cancel the transfer of mydomain.com 

If we do not hear from you by Saturday, Jul 6, 2019, the transfer will proceed.
------------------------------------------------------------------------------------------------------------------------------

 

주의사항) whois.co.kr 에서 Auth.Code 입력 버튼을 클릭해도, 처리중이라는 팝업만 뜰수 있는데, 이 경우, whois.co.kr 에 전화할 것.

 

반응형

'IT 용어, 인터넷 활용 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 DI  (0) 2020.04.20
ab (apache bench) 테스트  (0) 2020.03.26
Javascript.Hoisting  (0) 2020.02.08
Serverless Architecture  (0) 2018.12.06
Manage, Unmanaged, Native, JIT  (0) 2018.12.02

소개

FLTK
반응형

지금 부터 소개하는 FLTK 는 1998 년 부터 시작되어 온 GPL-V2 기반의 라이센스를 가진 GUI 라이브러리 입니다.

각 OS 마다 구비되어 있는 GCC 를 이용해서 build 할수 있음은 물론, Windows 에서는 MSVC 를 통해서 개발을 이어 나갈 수 있기도 합니다.



대표 싸이트 : http://www.fltk.org/index.php



 FLTK 의 경우는 C++ 의 상속 개념을 통해 여러 종류의 Fl_Widget 이라 불리는 Component 를 유기적으로 만들 수 있으며, 각 platform마다 빌드시, 거의 모든 동작환경이나 형태가 동일한 GUI 를 만들수 있는 좋은 라이브러리 입니다. 특히 OpenGL 을 일부 사용하는 GUI 에서 거의 완벽한 대부분의 component 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진 Application 이라면 동일한 소스를 그대로 각 platform 간에서 빌드후 사용이 가능 한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필자의 경우 FLTK를 이용한 Application 개발은 Windows 에서 수행 하지만, 실제 Target 는 ARM-Cortex-A8 호환을 사용하는 특정 Embedded Linux입니다. 여기에 nano-X 를 사용하여 FLTK 를 구동하며, 이 프로젝트는 매우 성공적 이었습니다.

다양한 platform 을 지원하는 GUI 라이브러리들 중에서는 QT 라던가, GTK, WxWidget 등이 있겠습니다만, 완벽히 Customize 가능하면서, 매우 가볍고 빠른 라이브러리엔 뭐가 있을까? 란 의문을 가져 본 다음 얻은 결론은 현재 FLTK 뿐 입니다.

 쉽게 말해 Windows GDI 가 가지는 거의 모든 기능들은 FLTK 에서 그대로 구현이 가능하며, 해당 component 가 가지는 특성을 상속받아 다시 만들어 내어 customize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는 것 또한 FLTK 가 가지는 매력이라 하겠습니다. 다만, FLTK 는 별다른 design tool 이 없는 관계로 FLUID 라는 개발자 목적에 맞는 간단한 code generator 가 있긴 하지만 이것이 실제 사용되기엔 매우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대규모 개발에 있어서 designer 와 code programmer 간의 협업엔 약간의 절충이 필요한 부분 입니다.

 그럼에도 FLTK 는 다목적 platform 기반의 GUI Application을 가벼우면서 고속으로 동작할수 있도록 만들수 있는 좋은 기반의 라이브러리 이며, 이는 platform 에 종속적이지 않은 제품을 만들때 매우 효과적인 설계기반이 될 수 있다 믿습니다.



 앞으로 빠르진 못하겠지만, 점진적인 FLTK 의 연재를 통해 많은 개발자들이 FLTK 를 통해 우수한 성능과, 깔끔한 모습의 GUI 를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다양한 모습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간단한 챗봇 만들기 테스트

Google/DialogFlow
반응형

[ 참조 ] https://medium.com/@jwlee98/gcp-dialogflow-%EB%A5%BC-%EC%9D%B4%EC%9A%A9%ED%95%9C-%EA%B0%84%EB%8B%A8-%EC%B1%97%EB%B4%87-%EB%A7%8C%EB%93%A4%EA%B8%B0-514ea25e4961

 

https://dialogflow.com/docs/getting-started/first-agent

 

1) Google Console 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한다.

그리고, DialogFlow API 를 Enable 한다.

 

 

2) 로그인

https://console.dialogflow.com/api-client/#/login

 

 

3) Create agent

Agent 이름, 언어, 타임존 선택후 Create Button 클릭후,

하단에 GOOGLE PROJECT 에 "1) 에서 만든 프로젝트"를 선택한다.

 

4) 콘솔에 생성한 Agent 가 나타남.

https://console.dialogflow.com

 

* 우측에 테스트할 수 있는 간단한 Try it now 을 해볼 수 있다.

5) 대화(=Intent) 생성

Intents Menu 를 클릭하면,

기본으로 "Default Fallback Intent(Ex> 잘 모르겠다.)" 와 "Default Welcome Intent(Ex> 안녕)" 가 있다.

 

Create Intent 를 클릭하여 새로운 Intent "name" 을 생성한다.

 

 

 

6) name Intent 를 클릭하여, Training Phrases 를 선택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

이름이 어떻게 되세요 ?

이름

을 각각 입력한다.

 

그리고, Responses 에,

제 이름은 수학의 아침 입니다.

 

를 입력한다.

 

Save 를 누르면 저장이 되며, 저장시 ML 도 같이 이루어 진다.

 

 

7) 그리고 오른 쪽에 Try it out! 에서 "이름이 어떻게 되세요?" 를 테스트 해본다.

 

8) 대화창 붙이기

Integrations 메뉴를 클릭후, Web Demo 를 켜면, 나타나는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한다.

 

 

 

 

반응형

Planet of Solar System

짤지식
반응형

반응형

'짤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별 수사권 비교  (0) 2019.09.23
5월의 광주  (0) 2019.09.15
중국 총리 저우언라이 (주은래)  (0) 2019.04.03
영장류 동물이 사회적 금기를 만드는 과정  (0) 2019.04.03
100명으로 본 2011년의 세계  (0) 2019.04.03

[I] FireBeat 설치

Elastic Search
반응형

1) Download & untar

https://www.elastic.co/kr/downloads/beats/filebeat

https://artifacts.elastic.co/downloads/beats/filebeat/filebeat-7.0.1-linux-x86_64.tar.gz

 

2) vi filebeat.yml

filebeat-7.0.1-linux-x86_64/usr/local/filebeat-7.0.1-linux-x86_64/filebeat.yml

 

type: log

enabled: true

path: /var/log/*.log

output.elasticsearch: hosts: ["localhost:9200"]

 

3) https://www.elastic.co/guide/en/beats/filebeat/7.0/filebeat-getting-started.html

반응형

'Elastic 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0) 2023.08.28
Logstach 설치  (0) 2019.05.17
KIBANA.샘플데이터 로드  (0) 2019.05.09
KIBANA 설치  (0) 2019.04.30
검색 실행  (0) 2019.04.30

Logstach 설치

Elastic Search
반응형

[참조] https://www.elastic.co/guide/kr/logstash/current/installing-logstash.html

 

1) Download & Extract

https://artifacts.elastic.co/downloads/logstash/logstash-7.0.1.tar.gz

 

> sudo su -

> cd /usr/local

> tar zxvf logstash-7.0.1.tar.gz

 

2) Logstash 파이프라인을 생성 테스트 실행테스트

bin/logstash -e 'input { stdin { } } output { stdout {} }'

위 문장을 실행하면 대기모드가 되는데, "hello world" 입력한다.

그럼 결과가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
    "@timestamp" => 2019-05-16T23:54:07.736Z,
          "host" => "myhost",
      "@version" => "1",
       "message" => "hello world"
}

Ctrl + D 를 눌러 종료한다.

 

3) 아파치로그 파싱해보기 + FileBeat 을 이용해 Log를 Logstash 로 보내기

  FileBeat 은 log 를 발송하는 Client 측이고, Beats input은 서버측이다.

  Beats input 은 Beats 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FileBeat, PacketBeat, MetricBeat 등을 모두 받아들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Logstash 로 전송한다.

      샘플 데이타 다운로드 : https://download.elastic.co/demos/logstash/gettingstarted/logstash-tutorial.log.gz 

      FileBeat : https://www.elastic.co/kr/downloads/beats/filebeat

                   ( https://github.com/elastic/beats/tree/master/filebeat )

      Beats input : https://www.elastic.co/guide/en/logstash/5.4/plugins-inputs-beats.html

  

  3.1.Download FileBeat 에서 https://www.elastic.co/kr/downloads/beats/filebeat

       https://artifacts.elastic.co/downloads/beats/filebeat/filebeat-7.0.1-linux-x86_64.tar.gz

  

  3.2.FileBeat 설치

 https://www.elastic.co/guide/en/logstash/5.4/advanced-pipeline.html#configuring-filebeat

 

반응형

'Elastic 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0) 2023.08.28
[I] FireBeat 설치  (0) 2019.05.20
KIBANA.샘플데이터 로드  (0) 2019.05.09
KIBANA 설치  (0) 2019.04.30
검색 실행  (0) 2019.04.30

KIBANA.샘플데이터 로드

Elastic Search
반응형

[참조.한글] https://www.elastic.co/guide/kr/kibana/current/tutorial-load-dataset.html

[참조.영문]https://www.elastic.co/guide/en/kibana/current/tutorial-load-dataset.html#_set_up_mappings 

한글과영문은 동일.

한글 매뉴얼은 가끔 오류가 나니 영문 참조하는 걸 권유 (Ex> shakespeare mapping )

 

1)

curl -O https://download.elastic.co/demos/kibana/gettingstarted/7.x/shakespeare.json
curl -O https://download.elastic.co/demos/kibana/gettingstarted/7.x/accounts.zip
curl -O https://download.elastic.co/demos/kibana/gettingstarted/7.x/logs.jsonl.gz

 

 

2)

unzip accounts.zip

unzip logs.jsonl.gz

 

3) 

curl -X PUT "localhost:9200/shakespeare"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appings": {
    "properties": {
    "speaker": {"type": "keyword"},
    "play_name": {"type": "keyword"},
    "line_id": {"type": "integer"},
    "speech_number": {"type": "integer"}
    }
  }
}
'

 

curl -X PUT "localhost:9200/logstash-2015.05.18"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appings": {
    "properties": {
      "geo": {
        "properties": {
          "coordinates": {
            "type": "geo_point"
          }
        }
      }
    }
  }
}
'

 

curl -X PUT "localhost:9200/logstash-2015.05.19"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appings": {
    "properties": {
      "geo": {
        "properties": {
          "coordinates": {
            "type": "geo_point"
          }
        }
      }
    }
  }
}
'

 

curl -X PUT "localhost:9200/logstash-2015.05.20"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appings": {
    "properties": {
      "geo": {
        "properties": {
          "coordinates": {
            "type": "geo_point"
          }
        }
      }
    }
  }
}
'

 

4)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x-ndjson' -XPOST 'localhost:9200/bank/account/_bulk?pretty' --data-binary "@./download/accounts.json"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x-ndjson' -XPOST 'localhost:9200/shakespeare/_bulk?pretty' --data-binary "@./download/shakespeare.json"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x-ndjson' -XPOST 'localhost:9200/_bulk?pretty' --data-binary "@./download/logs.jsonl"

 

 

5) Shakespeare Index Pattern 생성

순서 1) Kibana 5601 port 접속 > 왼쪽 메뉴 Management > Kibana 서브 메뉴> 아래 Index Pattern 클릭

순서 2) Create index pattern 클릭

순서 3) Step 1 of 2: Define index pattern 에서 shakes* 입력후 다음

순서 4) Step 2 of 2: Configure settings 에서 Create index pattern 클릭

 

6) bank Index Pattern 생성

순서 1) Kibana 5601 port 접속 > 왼쪽 메뉴 Management > Kibana 서브 메뉴> 아래 Index Pattern 클릭

순서 2) Create index pattern 클릭

순서 3) Step 1 of 2: Define index pattern 에서 ba* 입력후 다음

순서 4) Step 2 of 2: Configure settings 에서 Create index pattern 클릭

 

7) Logstash Index Pattern 생성

순서 1) Kibana 5601 port 접속 > 왼쪽 메뉴 Management > Kibana 서브 메뉴> 아래 Index Pattern 클릭

순서 2) Create index pattern 클릭

순서 3) Step 1 of 2: Define index pattern 에서 logstash* 입력후 다음

순서 4) @timestamp 선택

순서 5) Step 2 of 2: Configure settings 에서 Create index pattern 클릭

 

8) Kibana 에서 데이터 확인하기.

순서 1) Kibana > 왼쪽 메뉴 Discover 선택

순서 2) 좌측 Filter 아래에서 ba* 선택

순서 3) Filter 에 "account_number<100 AND balance>47500" 입력후 업데이트 클릭하면 결과가 나타난다.

          Filter Bar 우측 "Lucene" 을 클릭하면 On/ Off 나타나는데, Toggle 하면 KQL 로 바꿔야 한다.

* Available Field 에서 add 하면, 원하는 컬럼만 볼 수 있다.

 

9) Kibana 에서 bank 데이터 Visualize 하기.

참고) Visualize 선택시, 우측에 나타나는 목록은 Visaulize 저장된 목록이다.

순서 1) Kibana > 왼쪽 메뉴 Visualize 선택 > 우측 상단 + 클릭 > pie 선택

순서 2) Index Pattern 는 ba* 선택.

순서 3) 왼쪽 중간에 있는 Bucket 메뉴에서 Split Slices 선택.

순서 4) Range 는 Aggregation 선택.
순서 5) Field 는 balance.
순서 6) Range 는 0~999, 1000~2999, 3000~6999, 7000~14999, 15000~30999, 31000~50000 을 입력 후, ▶ (Apply changes) 클릭

순서 7) Save 메뉴 클릭해서 Pie 로 저장.

 

 

10) Kibana 에서 Shakespear 데이터 Visualize 하기.

순서 1) Kibana > 왼쪽 메뉴 Visualize 선택 > 우측 상단 + 클릭 > Vertical bar 선택

순서 2) Index Pattern 는 shake* 선택.

순서 3) 왼쪽 중간에 있는 Metrics 에서, Y-Axis 클릭.

순서 4) Aggregation 을 Unique Count 로 변경, Field 는 Speaker 로 선택. Custom Lable 은 "Speaking Parts"

순서 5) 왼쪽 아래에 있는 Buckets 에서 X-Axis 클릭.
순서 6) Aggregation 을 Terms 으로 설정 및 Field 를 play_name 로 설정.
순서 7) Order by 는 alphabetically 로 설정, Order 는 Ascending으로 설정.
순서 8) custom label 은 "Play Name" 으로 설정.

순서 9) ▶ (Apply changes) 클릭
순서 10) Save 메뉴 클릭해서 Bar 로 저장.

 

11) Kibana 에서 logstach 데이터 Visualize 하기.

순서 1) Kibana > 왼쪽 메뉴 Visualize 선택 > 우측 상단 + 클릭 > Coordinate map 선택

순서 2) Index Pattern 는 logstash* 선택.

순서 3) 상단 Filter 바 우측의 "타임 Picker 바"에서 Absolute / 20150518 ~ 20150520 선택

순서 4) 왼쪽 아래에 있는 Buckets 에서 Geo Coordinates 클릭.

순서 5) Aggregation 을 Geohash  로 설정 및 Field 를 geo.coordinates 선택.
순서 6) 
순서 7) 
순서 8) 

순서 9) ▶ (Apply changes) 클릭
순서 10) Save 메뉴 클릭해서 Bar 로 저장.

 

12) Kibana 에서 

반응형

'Elastic 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I] FireBeat 설치  (0) 2019.05.20
Logstach 설치  (0) 2019.05.17
KIBANA 설치  (0) 2019.04.30
검색 실행  (0) 2019.04.30
데이터 탐색.샘플데이터 집합 로드  (0) 2019.04.29

표준 ANSI SQL MODE (Strict Mode) 사용 On/OFF

Database 관리/MySQL
반응형

1) 확인

mysql -u root -p -e "SHOW VARIABLES LIKE 'sql_mode';"

 

2) OFF

mysql -u root -p -e "SET GLOBAL sql_mode = 'NO_ENGINE_SUBSTITUTION';" 

mysql -u root -p -e "SELECT @@GLOBAL.sql_mode;"

 

3) OFF vi my.cnf

[mysqld]

sql_mode=NO_ENGINE_SUBSTITUTION,STRICT_TRANS_TABLES

반응형

'Database 관리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시간 SQL LOG 남기는 방법  (0) 2023.09.18
2023-226.MySQL,Architecture,아키텍처.우기  (0) 2023.08.06
콘솔.Tag자동완성  (0) 2023.07.31
Plan.용어.설명  (0) 2023.03.22
save as CSV  (0) 2022.01.07